

La pression colorée #001_2023, 2023, Mixed media and Korean paper collage on canvas, 92 x 73 cm (Left)
La pression colorée #002_2023, 2023, Mixed media and Korean paper collage on canvas, 92 x 73 cm (Right)


La pression colorée #003_2023, 2023, Mixed media and Korean paper collage on canvas, 92 x 73 cm (Left)
La pression colorée #004_2023, 2023, Mixed media and Korean paper collage on canvas, 73 x 92 cm (Right)

La pression colorée #007_2023, 2023, Mixed media and Korean paper collage on canvas, 46 x 55 cm

La pression colorée #005_2023, 2023, technique mixte et collage de papier coréen sur toile, 55 x 46 cm

La pression colorée #006_2023, 2023, technique mixte et collage de papier coréen sur toile, 55 x 46 cm

La pression colorée #008_2023, 2023, technique mixte et collage de papier coréen sur toile, 55 x 46 cm

La pression colorée #009_2023, 2023, technique mixte et collage de papier coréen sur toile, 55 x 46 cm

La pression colorée #010_2023, 2023, technique mixte et collage de papier coréen sur toile, 55 x 46 cm

La pression colorée #011_2023, 2023, technique mixte et collage de papier coréen sur toile, 22 x 27 cm

La pression colorée #012_2023, 2023, technique mixte et collage de papier coréen sur toile, 22 x 27 cm
<August 2023>
I am convinced that art should captivate individuals by exploring accessible themes rather than obscure artistic concepts. It should soothe the exhausted minds of modern society, providing motivation to restore the negative aspects of emotions through the emotional healing power inherent in humanity.
In contemporary art, the ideas, beliefs, emotions, and concepts of the artist often transform into essential materials, paving the way for a diversity of expressions ranging from painting, sculpture, music, and dance to digital art, without any material constraints. In the face of this abundance of content and modes of expression, the viewer is invited to actively question the artwork and respond to it in an engaged manner. The goal is to stimulate a subjective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in the meanings and values of the artwork. Thus, contemplating an artwork is not limited to mere aesthetic appreciation, but also encompasses intellectual understanding that embraces the artist's life, thoughts, and concepts.
However, contemporary art today tends to reveal complex and enigmatic facets, often requiring detailed explanations to evoke resonance and public participation. We increasingly see the presence of explanations, guidelines provided by artists, and even permanent guides in galleries aimed at facilit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hibited works. While this approach can make artworks more accessible and generate interest, I am concerned about the risk of fostering a passive attitude in the audience, thereby limiting their imagination and interpretation. My creations are based on themes conducive to emotional connection before any intellectual understanding. They aim to provoke active reflection by escaping complex and difficult-to-grasp concepts, thus encouraging viewers to proactively explore their own lives and inner selves.
To spontaneously evoke the audience's empathy, my works embody the fundamental emotions of humanity at the intersection of the abstract and the concrete. Furthermore,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invisible visible, the materials first undergo physical destruction. The repeated act of tearing, gluing, and burning the hanji resembles a prayer for change, a liberating catharsis, aware of the immutable present where all emotions are deployed on the hanji. When the debris from this process takes on a new form on the flat surface, human emotions and their byproducts are imbued with varied colors and carefully arranged. My goal was to illustrate the latent meaning that by destroying an essential and inevitable part of humanity, a resolution can be reached, allowing for its inner integration.
This approach is akin to a consciousness that demonstrates that the magnitude of emotions faced in a given situation does not change, but their form can be altered. Even though we cannot change reality, a change in perspective can bring about a transformation at the mental level, opening the way for new directions. In an era where we have forgotten that we are the masters of our own lives, maintaining this awareness allows us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ur own emotions. I believe that by continuing this awareness, we can realize that if we change our perception of wounded or exhausted emotions, we can transform the weight that is assigned to us.
<2023년 8월>
나는 예술이 난해한 개념보다 사람들과 공감할 수 있는 내용으로 대중들에게 다가갈 수 있고, 현대 사회에 지친 인간의 마음을 가볍게 하고 인간 본래의 정서적 치유력으로 감정의 부정적인 부분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대 미술에서는 미술가의 생각이나 사상, 감정 및 아이디어가 주요 재료가 되기에 페인팅, 조각, 혹은 음악과 무용, 디지털 등 물질적으로 보여지는 표현 범위에 제약이 없다. 이렇게 내용과 표현 방식이 무한한만큼 관람자가 작업에 대해 의문하는 행위와 적극적인 반응을 유도하여, 주체적으로 작품의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고 참여하도록 한다. 작품을 본다는 것은 감상뿐만이 아니라 작가의 삶과 생각과 개념까지 포함되기에 머리로 이해를 해야한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다.
하지만 오늘날의 현대 미술은 어렵고 난해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관객들의 호응과 참여를 위해서는 충분한 설명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인지 요즘에 작가의 작품 설명이나 가이드라인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전시 작품의 이해를 위한 안내인이 전시장에 상주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배려는 우리들이 보다 쉽게 작품을 이해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지만 나는 오히려 이것이 대중들의 상상력과 해석을 축소시키는 수동적 자세를 지니게 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나의 작품은 머리로 이해하기 전에 마음으로 공감을 할 수 있는 주제가 바탕이다. 그리고 복잡하고 이해하기 힘든 개념에서 벗어나 자신의 삶과 내면을 비추어보며 능동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작업이다.
이처럼 대중의 공감을 자발적으로 끌어내기 위해 내 작품에서 인간의 본질적인 감정은 구상과 추상 사이에 다양한 형태가 되어 존재한다. 또한 비가시적인 것을 가시적인 것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재료들은 먼저 물리적인 방식에 의해 파괴된다.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 지금을 의식하며 한지에 모든 감정을 풀어내는 것이다. 한지를 찢고 붙이고 태우는 반복 행위는 변화를 바라는 기도와 같으며 응어리를 푸는 카타르시스와 같다. 이것의 잔해가 평면 위에 새로운 형태를 취했을 때 인간의 감정과 따라오는 부산물이 다양한 색상으로 채워지고 배치된다. 인간이라면 가질 수 밖에 없는 본질적인 부분을 파괴를 통해 어느 정도 해소되면서 내면에 수용될 수 있다는 잠재 의미를 보여주고자 했다.
이러한 작업은 어떠한 상황에 놓여진 감정의 크기는 변하지 않지만 형태는 바꿀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의식과 같다. 현실을 바꾸지 못해도 그것을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진다면, 정신적인 부분에서는 변화가 생기고 새로운 방향으로 갈 수 있게 해준다. 삶의 주인이 우리 자신이라는 것을 잊어버린 지금의 시대에, 이 의식을 지속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을 겪게 한다. 받아들여지는 상처받거나 지친 감정의 무게를 바꿀 수 있는 것은 나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고 믿는다.